주요경력 :
1999 ~ 1999 : 노르웨이 노벨연구소 초빙연구원(Guest Fellow)
1999 ~ 2002 :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객원연구위원
2002 ~ 2002 :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
2002 ~ 2010 :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
2008 ~ 2009 : The Mansfield Center (The University of Montana) Visiting Scholar
2011 ~ 현재 :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
저 서 :
ㆍ『냉전 이후 미국 패권』(파주: 한울, 2017)
ㆍ『The Making of American Hegemony from the Great Depression to the Korean War』,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, 2000.
공 저 :
ㆍ 『한반도 국제관계사의 재인식』(서울: 사회평론아카데미, 2021)
ㆍ 『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』(파주: 한울아카데미, 2021)
ㆍ 『안보의 논리, 평화의 논리: 한반도와 세계』(서울: 에테르, 2021)
ㆍ『동북아 평화를 위한 한중 관계의 모색: 역사로부터의 경험』(서울: 동북아역사재단, 2020)
ㆍ『미중 전략적 경쟁: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풀어야 하나』(서울: 페이퍼로드, 2020)
ㆍ『신한반도체제 실현을 위한 미·중·러의 세계전략 연구』(서울: 대외경제정책연구원, 2019)
ㆍ『한반도 평화체제 관련 쟁정과 이행방안』(서울: 통일연구원, 2019)
ㆍ『한반도 평화협정 구상과 제안』(서울: 통일연구원, 2019)
ㆍ『한반도 평화와 중국』(서울: 지식공작소, 2019)
ㆍ『동아시아 신안보질서와 우리의 전략』(서울: 평재리, 2019)
ㆍ『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한미관계』(서울: 통일연구원, 2018)
ㆍ『지역, 지역 간 협력과 북한문제』(서울: 숭실평화통일연구원, 2018)
ㆍ『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동아시아 전략환경 변화와 한국의 대응』 (서울:통일연구원, 2017)
ㆍ『분단 70년의 국제관계』(서울: 선인, 2016)
ㆍ『한국 민주주의의 도전과 극복』, 고양: 인간사랑, 2013.
ㆍ『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와 전망: 민주화, 세계화, 탈안보화』, 고양: 인간사랑, 2013.
ㆍ『변환의 세계정치』, 서울: 을유문화사, 2012.
ㆍ『기여외교에 대한 평가와 보완점』, 서울: 국회입법조사처, 2010.
ㆍ『2012 차이나 리포트』, 서울: 인간사랑, 2008.
ㆍ『동아시아시대 새로운 외교지형의 구축』, 경기: 경기개발연구원, 2006.
ㆍ『북한연구의 성찰』, 서울: 한울 아카데미, 2005.
ㆍ『변화하는 세계 바로보기』, 서울: 나남, 2004.
ㆍ『미국의 신보수주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평화문제』, 서울: 인간과 복지, 2004.
ㆍ『21세기 국제환경 변화와 한반도』, 서울: 오름, 2004.
ㆍ『동아시아 국제관계와 한국』, 서울: 을유문화사, 2003.
공 역 :
ㆍ『세계정치론』, 서울: 을유문화사, 2019.
ㆍ『지정학이란 무엇인가』, 서울: 길, 2007.
ㆍ『21세기 평화학』, 풀빛출판사, 2002.
논 문 :
ㆍ “바이든의 미국 우선주의: 중산층을 위한 외교,” 『한국정치연구』제30권 제3호 (2021): 225-255.
ㆍ “미국(美國), 미국(迷國), 미국(未國:) 약속, 절망과 위선의 연대기,” 『창작과 비평』제49권 제1호 (2021): 17-34.
ㆍ “미중관계: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정책 전망,” 『성균차이나브리프』제9권 제1호 (2021): 62-67.
ㆍ “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의 재조명: ‘114일의 한미 분규,’” 『한국정치연구』제29집 제3호 (2020): 1-33.
ㆍ “단극의 환상과 현실: 탈냉전기 미국 대전략의 진화,” 『한국과 국제정치』제36권 제1호 (2020): 37-79
ㆍ (공저: 이경아) “근대 국제질서의 탄생: 19세기 지구적 변환론,” 『평화연구』제27권 제2호 (2019 가을호): 5-45.
ㆍ “북한 예외주의 대 현실주의:미국의 한반도 정책,” 『창작과 비평』제47권 제3호 (2019): 406-424.
ㆍ “Bâtir un Nouvel Order,” Manière de Voir, Numéro 161 (Décember 2018- Janvier 2019): 42-46.
ㆍ (공저: 전혜주) “미국 패권은 예외적인가? 아이켄베리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이론비판,” 『한국과 국제정치』제34권 제4호 (2018): 1-31.
ㆍ (공저: 이경아) “국제란 무엇인가? 월츠의 무정부상태 vs. 로젠버그의 불균등결합발전,” 『국제·지역연구』제27권 제4호 (2018): 67-94.
ㆍ “북미 정상회담의 ‘충격과 공포’: 미국 패권과 북핵,” 『성균차이나브리프』제6권 제2호 (2018): 128-133.
ㆍ "동맹의 결정: 사드(THAAD)와 한미 동맹, 미국 패권," 『의정연구』통권 52호 (2017): 5-50.
ㆍ "어떻게 불구국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인가: 미국 우선주의, 백인 우선주의, 그리고 트럼프 우선주의," 『동향과 전망』통권 99호 (2017): 9-50.
ㆍ "Donald Trump and American Hegemony," 『평화연구』 제24집 2호 (2016): 205-251.
ㆍ (공저: 양승범) "핵연료 모라토리엄의 정치경제: 포드 행정부의 핵연료정책 재검토, 1974-75," 『현대정치연구』 제9권 2호 (2016):129-156.
ㆍ "What's the Matter with Trump?" 동아시아연구원 워킹페이퍼 (2016년 9월23일)
ㆍ "미국의 중국 인식: 과거, 현재, 미래," 『성균차이나브리프』제4권 제3호 (2016): 86-91.
ㆍ "자제 대 패권: 탈냉전기 미국 대전략의 이해" 『한국정치연구』 제24집 3호 (2015): 171-197.
ㆍ (공저: 김상기) "오바마를 위한 변명: '담대한 희망' 대 역사"『21세기정치학회보』제24권 3호 (2014): 625-653.
ㆍ "오바마가 서울에 오는 까닭은? 9/15 시대 미국의 아시아 정책과 한국"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 현안과 정책 제28호 (2014년 4월 14일)
ㆍ (공저: 이경아) "근대 국제관계와 유럽협조체제: 슈뢰더의 유럽 국제정치 변환론"『평화연구』제22권 1호 (2014): 54-91.
ㆍ "韩半岛的战争, 同盟与和平," 『成均中國觀察』 第3期 (2013): 28-33.
ㆍ (공저: 이경아) "국제정치의 진보: 링클레이터와 웬트의 '제 3의 길'," 『국제지역연구』 제17권 제1호 (2013): 185-202.
ㆍ (공저: 박지범) "인간안보: 국제규범의 창안, 변형과 확산," 『국제·지역연구』 22권 1호 (2013): 1-37.
ㆍ "A Gilded Alliance: Gloibal Korea's G-20/Yeonpyeong Moment Revisited," 『통일연구』 제16권 제2호 (2012): 5-32.
ㆍ (공저: 최계원) "관타나모 수용소: 9/11 이후 미국의 안보와 민주주의, 그리고 인권의 딜레마," 『민주주의와 인권』 제12권 2호 (2012): 173-210
ㆍ "미국의 이라크 전쟁(2003-2011): 세 가지 시각," 『국제정치논총』 제52집 1호 (2012): 295-318.
ㆍ (공저: 김대홍) "미국 정치의 양극화와 대외정책: '중도의 몰락(Dead Center)' 논쟁의 이해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33집 2호 (2012): 91-122.
ㆍ "9/11의 (탈)안보화의 미국패권: 대테러전쟁의 구성과 해체," 『국제지역연구』 제15권 제2호 (2011): 25-50.
ㆍ "미국 쇠퇴론의 쟁점과 실증적 분석," 『국제문제연구』 제11권 제2호 (2011): 65-97.
ㆍ (공저: 김대홍) "미국 패권의 재건축: 오바마 정부의 글로벌 아키텍처 구상과 그 한계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32집 2호 (2011): 227-256.
ㆍ "오바마의 전쟁: 미국의 경제위기와 대테러전쟁의 해체," 『21세기정치학회보』 제20집 3호 (2010): 259-271.
ㆍ "Status Quo of the South Korea-United States alliance," Comtemporary Korea Vol. 66 (2010): 1-7.
ㆍ "변환외교의 논리: 또는 미국적 현실주의의 변명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31집 1호 (2009): 265-298.
ㆍ "보호책임의 국제정치: 인권, 국가주권, 유엔과 미국패권," 『국제․지역연구』 18권 4호 (2009): 1-36.
ㆍ "미국 공화당의 위기: 보수의 역사적 정체성과 정치적 과제," 『의정연구』 제15권 제1호 (2009): 209-235.
ㆍ (공저: 박지범) "카자흐스탄 권위주의의 길," 『중소연구』 제33집 2호 (2009): 177-211.
ㆍ "MB 정부 동아시아 외교정책의 평가와 전망"『동아시아 브리프』3권3호(2008): 94-103.
ㆍ "민주평화론의 패러독스: 칸트 평화사상의 왜곡과 오용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29집 2호 (2008): 129-154.
ㆍ "환상과 실험: 이라크 전쟁, 한국 민주주의와 국회," 『국회도서관보』 43권9호 (2006): 10-19.
ㆍ "미국의 베트남 전쟁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27집 2호 (2006)
ㆍ "한미동맹 기원의 재조명: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발효는 왜 연기되었는가?," 『한국정치외교사논총』 제26집 1호 (2004)
ㆍ "주권과 국제관계이론," 『세계정치』 제25집 1호 (2004)
ㆍ "The Bush Doctrine: A Critical Appraisal," 『국제정치논총』 제43집 5호 (2003)
ㆍ "패권의 굴레: 북미갈등과 한반도의 평화," 『현대북한연구』 제6권 1호 (2003)
ㆍ "웨스트팔리아와 국제관계의 근대성: 러기(Ruggie)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," 『국제정치논총』제42집 2호 (2002)
ㆍ "미국의 세계: 명분과 책략," 『정치비평』 (2002)
ㆍ "미국세기의 논리: 이차대전과 미국의 대영역," 『한국정치학회보』 제35집 1호 (2001)
ㆍ "단극시대 미국패권전략의 이해," 『한국과 국제정치』 제16권 2호 (2000)
ㆍ "자유주의의 역사적 국면: 근대성, 안보와 전후국제질서의 수립," 『전략연구』 제6권 3호 (1999)
학회발표 :
ㆍ “미국의 중국 정책,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, 미래전략연구원 공동주최 학술회의: 미래사회의 대안 모델과 질서로서의 중국 사회주의의 가능성, 2020년 1월 31일, 서울.
ㆍ “트럼프 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: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의 변화와 남북미 관계,” 한국유라시아학회 2019 추계학술회의, 2019년 11월 9일, 서울.
ㆍ “위태로운 상호주의: 미국의 대북정책,” 2019년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국제학술회의: 신뢰의 조건과 평화프로세스 – 증여에서 인정으로, 2019년 11월 7일, 서울.
ㆍ “변화하는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(의 부재),” 시민평화포럼, 참여연대, 한겨레통일문화재단 공동주체 한미동맹 전환 모색 포럼: 평화체제와 군사동맹은 공존 가능한가? 2019년 10월 22일, 서울.
ㆍ “트럼프시대 미국패권의 역사적 이해,” 한국국제정치학회 하계학술대회, 2019년 7월 4일, 서울.
ㆍ “미국독립선언, 자유의 전범인가?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춘계학술호의: 3·1운동에서 3·1혁명으로, 2019년 4월 12일, 서울.
ㆍ “한반도 안보연구의 과제: 예비적 고찰,” 신한대학교 탈분단경제연구원: 안보의 논리, 증여의 논리 - 남북관계의 현실과 이론, 2019년 2월 14일, 의정부.
ㆍ “미국 우선주의, 미중 경쟁과 한반도 평화,” 한국국제교류재단 한중정책 시리즈 제2탄 북경 편: 한반도 평화체제와 동북아 안보, 2018년 11월 8일, 북경.
ㆍ “탈냉전기 한반도 평화의 잃어버린 기회들,” 동북아역사재단 한중포럼: 역사인식 공유와 동북아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중 관계, 2018년 8월 30일, 서울.
ㆍ “한반도 평화협정과 동북아 지역질서,” 통일연구원 한중전문가 워크숍: 한반도 평화협정 구상과 추진방안, 2018년 8월 7일, 북경.
ㆍ “미국 우선주의와 한반도 평화,”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, 길림대학교 공공외교학원 한중 공공외교포럼: 한반도 평화전망과 경로, 2018년 6월 28일, 장춘.
ㆍ “The (North-)Korea Reckoning: What’s Wrong with Peace?” 세종연구소 한-미-중 3자 안보대화: 불확실성 시대의 한반도, 2018년 6월 15일, 제주.
ㆍ “평창 이후 한미관계,”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 연구소, 푸단대학교 한국연구센터 한중 전문가 정책 및 학술 대화: 미국 외교정책과 한반도, 2018년 2월 5일, 상해.
ㆍ "근대 국제관계의 형성과 진화: 마틴 와이트와 동주 이용희,"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학술회의: 한국국제정치학, 미래 백년의 설계, 2017년 10월 28일, 서울.
ㆍ "문재인의 무한도전: 한미 정상회담과 베를린 연설, 그리고 남북관계,"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2017년 한반도평화를 위한 국제포럼: 한미 정상회담과 베를린 연설 이후, 남북관계와 동북아 평화협력, 2017년 7월 10일, 서울: 프레스센터.
ㆍ "미국패권이론, 무엇이 문제인가? 아이켄베리(-듀드니) 자유주의 패권이론의 '삼단 변신'에 대한 비판적 소고," 한국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특별기획패널: 불확실성 시대의 국제정치이론과 주요 쟁점, 2017년 6월 30일, 전주.
ㆍ "정부수립 60년의 한국외교 담론," 평화학회 국제학술회의: 대립을 넘어, 공존을 향해: 동아시아 분쟁현황과 평화구축의 전략, 2017년 6월 21일, 서울.
ㆍ "트럼프의 대한반도정책과 대응방향," 시민평화포럼 제1차 정책포럼: 새 정부의 출범과 평화운동의 과제, 2017년 5월 17일, 서울.
ㆍ "미중 정상회담과 한반도," 평화재단 평화연구원 제75차 전문가포럼, 2017년 4월 17일, 서울.
ㆍ "이승만 정부 시기 한미관계: 1954년 한미회담," 국립외교원 제6회 외교사 브라운백 세미나. 2016년 1월 18일.
ㆍ "한미동맹과 북핵: 불편한 진실," 한국국제정치학회, 주한미대사관 공동주최 세미나: 2015,한미동맹의 현주소. 2015년 9월 16일, 서울.
ㆍ "미국 건국의 국제적 맥락: 예비적 고찰,"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연구세미나 시리즈: 미국건국사상과 외교정책. 2014년 12월 1일, 서울
ㆍ "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패권, 무엇이 문제인가?" 중국 연변대학교 두만강포럼. 2014년 10월 11-12일, 중국: 연변
ㆍ "(자주의) 운명인가? 노무현 정부의 대미외교",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학술회의: 노무현 정부의 실험, 미완의 개혁. 2011년 5월 20일, 서울
ㆍ "Road Kill: Human Security in North Korea,"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on-Traditional Security Issues, 2010년 7월 14일, 서울.
ㆍ "일류국가의 안보와 국방," 미래 한국재단 세미나, 2007년 11월 9일, 서울.
ㆍ "한미동맹관계의 역사적 변화와 미래,"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춘계학술대회, 2007년 6월 1일, 서울
ㆍ "한미동맹의 미래와 주한미군," 경기개발연구원 세미나, 2006년 11월 28일, 서울
ㆍ "Northeast Asian Order and South Korea's Options," 한국 언론재단, 조지타운대학,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공동주최 세미나,
ㆍ "Northeast Asian Security and the Korean Peninsular: Sino-Japanese Rivalry and U.S.-ROK Relations," 2006년 10월 19일, 워싱턴.
ㆍ "이라크 파병결정과 국회의 역할," 한국정치학회 하계학술대회, 2006년 6월 15일, 서울
ㆍ "민주주의와 영구평화," 한국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, 2005년 12월 9일, 서울
ㆍ "민족의 꿈, 세계의 현실,"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세미나, <민족, 국가, 그리고 영토>, 2005년 11월 13일, 서울
ㆍ "중미관계의 변화와 한중관계의 발전," 중국사회과학원, 동아일보 21세기 평화연구소 주최 학미나, <21세기 국제질서의 변화와 한중관계>, 2005년 7월 28일, 북경